1


국어국문·창작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Literary Creative Writing

    korean.hannam.ac.kr  (학과운영 홈페이지)

    @HNKMC2018    (학과운영 페이스북)


    T. 042-629-7311 국어국문트랙

    T. 042-629-7800 문예창작트랙

국어국문·창작학과 소개

국어국문. 창작학과는 국어국문트랙과 문예창작트랙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있다. 국어국문트랙은 네트워크 미디어 및 세계화 시대에 창조적인 언어활동의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제공한다. 언어의 의미와 기능, 일반 언어학의 제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를 기반으로 한국어의 발달과 말소리, 어휘, 등에 대한 정확하고 심도 있는 이해를 추구한다. 문예창작트랙은 창작에 소질이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여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문학이론의 탐구와 창작의 실제교육을 진행한다. 국어국문창작학과의 진로설계는 중등 국어교사, 한국어교사, 문학평론가, 시인, 소설가, 논술 및 독서지도사, 출판편집인, 스토리 작가, 디지털 문화콘텐츠 기획자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문과대학 (건물번호 04) 3층 40336호(국어국문·창작학과)

  • 042-629-7311


담당업무 및 전화번호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국어국문·창작학과의 담당업무 및 담당자 이름, 연락처 정보
이름 담당업무 연락처
이두희학과조교 042-629-7311
FAX 042-629-8065
김태인조교수(학과장) 042-629-7317
김창완교수 042-629-7523
김홍진교수 042-629-7347
이은하교수 042-629-7365
장수익교수 042-629-7315
정기철교수 042-629-8330
신태수교수 042-629-7432
장노현부교수 042-629-8376
문병열부교수 042-629-7438
대학원,한남문인회 042-629-7800



교육과정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고전문학 국문학개론, 고전소설의이해, 구비문학과한국문화, 수필과인문감성
현대문학 현대문학텍스트의이해, 한국현대문학의흐름과경향, 현대소설의이론과실제, 문학적상상력과영상언어
국어학 한국어학개론, 한국어의소리와발음, 문법과국어생활, 한국어의역사, 지역사회와언어, 지역과세계와문학, 한국어의미론, 화법과미디어언어, 한국어학자료강독, 실용한국어맞춤법, 한국언어문학캡스톤디자인
교직이수과목 국어교과교육론, 국어교과논리및논술,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시창작 문학과창작, 시창작과형상사유, 시창작과광고카피, 시와문화콘텐츠창작
소설창작 문예창작기법, 소설창작특강, 소설창작세미나, 소설과콘텐츠창작
비평창작 비평의시각과방법, 문학비평창작워크숍, 문화읽기와비평
글쓰기교육 이야기와상상, 어휘와표현예술, 문장과표현예술, 자기표현글쓰기, 독서지도방법
미디어창작 디지털미디어와문학예술, 문화기술과스토리텔링, 극작과웹드라마, 디지털스토리만들기, 융합인문콘텐츠의기획및제작, 문예창작캡스톤디자인



진학가이드

관련 적성과 흥미 알아보기
국어국문트랙
국어국문트랙은 무엇보다 언어와 문학에 관심과 소질이 있는 학생에게 유리하다. 언어와 문학도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므로 사회변화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연극, 영화, 미술, 광고 등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면 문학작품의 이해와 창작에 도움이 된다. 상상력과 창의력 그리고 글쓰기, 읽기에 대한 흥미가 필요하다. 국어를 배우기는 하지만 언어와 문학이라는 공통된 주제에 대해 공부하므로 외국어와 외국문학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필요하다.
문예창작트랙
문예창작트랙은 짜임새 있는 이론 강의를 바탕으로 창작의 실기 강의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국내외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학생들의 작품 분석에 이르기까지 창작 실제의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시, 소설, 희곡, 비평, 수필, 방송문학 등 문학 각 장르에 대한 학생들 각자의 창의성을 최고도로 발휘시킨다. 이를 통하여 문학예술 창작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며, 아울러 교육 목적의 영역을 확대하여 편집 및 출판, 연극과 영화, 광고와 홍보, 신문과 방송 분야 등에서 활동할 수 있는 전문인 육성에도 역점을 둔다.
관련 비교과(체험) 활동

    1. 각종 공모전 참가 - 한남문학상 / 창작문화상 / 디지털스토리문학상 (본과 주관 혹은 후원) / 백일장 대회 / 각 신문사 신춘문예 출품

    2. 국어국문.창작학과 전공 체험 ‘오감체험 글쓰기’ 및 판타지시놉시스 창작발표회 참여

    3. KBS 한국어 능력 시험 자격증 응시 및 취득

    4. 동아리 소모임 활동 : 미친창작자들 / 그리샤 / 노벨라 / 말글사모 / 뷰잉 / 움직임 / 한남시정신

권장도서
한국문학통사(조동일) / 동물농장(조지 오웰)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 / 즐거운 글쓰기(루츠 폰 베르더) / 태백산맥(조정래)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밀란 쿤데라) / 토지(박경리) / 정의란 무엇인가(마이클 샌델)
고교 중점 교과
  • 국어
  • 사회



졸업 후 진로

국문학과 졸업 후 진로에 관한 설명입니다.

중등 국어교사, 한국어교사, 문학평론가, 시인, 소설가, 희곡작가, 논술 및 독서지도사, 출판편집인, 스토리작가, 카피라이터




정보관리부서 : 문과대학 부속실 및 해당학과

최종 수정일 : 20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