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 관련된 동아리 활동(교육봉사 동아리, 학생 멘토 동아리)
- 초·중·고 연계 멘토링 활동 및 지역아동센터 교육봉사 활동
- 다문화가정 학생 한국어교육 봉사 활동
- 독서토론, 웅변, 발표 동아리 활동
국어교육과는 1975년 12월 신설인가를 받아 50여 년에 이르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85년 종합대학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로 인가를 받았다. 1988년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국어교육) 석사과정, 2003년 일반대학원 국어교육과(국어교육학) 박사과정을 신설하고, 2013년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과(한국어 교육) 석사과정을 개설하여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국어교육과는 대전·충남 지역을 비롯한 전국 교육계에 많은 활동과 헌신, 봉사를 하고 있는데, 김신호 前 대전 교육감을 비롯하여, 400여 명의 많은 선배들이 중· 고등학교 교장, 교감, 교사로 봉직하고 있다. 최근에도 많은 수의 임용고시 합격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전국의 타 국어교육과에 비해 경쟁력 있고, 내실 있는 학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범대학 (건물번호 03) 3층 30311호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담당업무 | 전화번호 |
---|---|
학과조교 | ![]() |
FAX | ![]() |
김홍범 교수 | ![]() |
정민주 교수 | ![]() |
김남희 교수 | ![]() |
김영미 교수(학과장) | ![]() |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1학년 | |
---|---|
2학년 | |
3학년 | |
4학년 |
*위 교육과정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졸업 후 진출 분야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전·충남 지역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중·고등학교에 국어 교사로 진출하여 교육 현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약 400명의 동문이 교장, 교감, 교사로 재직하며, 학생들의 바른 성장을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독서 교육, 글쓰기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국어 교사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진로 선택의 폭도 더욱 넓어지고 있다. 국어교육 전공자의 전문성과 언어 감수성을 바탕으로 교육 출판사나 에듀테크 기업에서 교재 개발자, 교육 콘텐츠 기획자 등으로 활동하며 교육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언론·출판·미디어 분야로 진출해 신문·방송사의 기자, PD, 작가, 또는 출판사의 편집자 등으로 전문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아울러 국어교육 전공자가 지닌 인문학적 소양과 탁월한 의사소통 능력은 공공기관과 기업체의 홍보, 마케팅, 사내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일부 졸업생은 교육행정직 공무원으로 진출하여 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맡아, 공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대학원 및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원이나 교수로서 학문적 역량을 펼치는 경우도 있다. 교육 현장과 연구를 연결하는 실천적 연구자, 교육 전문가로 성장하여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관리부서 : 사범대학 부속실 및 해당학과
최종 수정일 :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