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교육과

Dept. of Korean Education

kukkyo.hannam.ac.kr  (학과운영 홈페이지)

da0n_kor41    (학과운영 인스타그램)

국어교육과 소개

국어교육과는 1975년 12월 신설인가를 받아 50여 년에 이르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85년 종합대학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로 인가를 받았다. 1988년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국어교육) 석사과정, 2003년 일반대학원 국어교육과(국어교육학) 박사과정을 신설하고, 2013년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과(한국어 교육) 석사과정을 개설하여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국어교육과는 대전·충남 지역을 비롯한 전국 교육계에 많은 활동과 헌신, 봉사를 하고 있는데, 김신호 前 대전 교육감을 비롯하여, 400여 명의 많은 선배들이 중· 고등학교 교장, 교감, 교사로 봉직하고 있다. 최근에도 많은 수의 임용고시 합격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전국의 타 국어교육과에 비해 경쟁력 있고, 내실 있는 학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담당업무 및 전화번호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국어교육과의 담당업무 및 담당자 이름, 연락처 정보
담당업무 전화번호
학과조교 042-629-7405
FAX 042-629-8396
김홍범 교수 042-629-7965
정민주 교수 042-629-7322
김남희 교수 042-629-7496
김영미 교수(학과장) 042-629-7433



교육과정

스크롤하여 좌우를 확인해 주세요.

1학년
  • 국문학개론, 문학개론, 현대문학강독, 국문학사Ⅰ, 국어학개론, 화법교육론, 국어교육학개론
  • 2학년
  • 국문학사II, 국어문법론, 현대시론, 한국문자교육론, 국어교과교육론, 문학교육론, 현대소설론, 고전소설론, 고전시가론,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3학년
  • 고전소설교육론, 고전시가교육론, 구비문학교육론, 국어교육특강, 국어정서법, 중세국어문법, 매체교육론, 고전문학교육콘텐츠캡스톤디자인, 고전수필교육론, 국어사, 국어교과논리및논술, 문법교육론, 소설교육론, 이해교육론, 현대문학을통한글쓰기캡스톤디자인
  • 4학년
  • 국어학특강, 표현교육론, 현대시교육론, 현대문학특강, 현대시인론, 고전문학특강
  • *위 교육과정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진학가이드

    관련 적성과 흥미 알아보기
    국어교육과의 목적은 바람직한 중·고등학교 교사를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이나 사람에게 애정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국어교육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이기에 언어와 문학에 대한 관심과 소질이 있어야 하며, 인문·사회교육을 전공하고 싶다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져두는 것이 좋다.
    관련 비교과(체험) 활동
    • 교육과 관련된 동아리 활동(교육봉사 동아리, 학생 멘토 동아리)
    • 초·중·고 연계 멘토링 활동 및 지역아동센터 교육봉사 활동
    • 다문화가정 학생 한국어교육 봉사 활동
    • 독서토론, 웅변, 발표 동아리 활동
    권장도서
    중·고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단편소설 / 한국대표단편소설집 1~7
    고교 중점 교과
    • 국어
    • 사회
    • 윤리



    졸업 후 진로

    졸업 후 진출 분야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전·충남 지역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중·고등학교에 국어 교사로 진출하여 교육 현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약 400명의 동문이 교장, 교감, 교사로 재직하며, 학생들의 바른 성장을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독서 교육, 글쓰기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국어 교사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진로 선택의 폭도 더욱 넓어지고 있다. 국어교육 전공자의 전문성과 언어 감수성을 바탕으로 교육 출판사나 에듀테크 기업에서 교재 개발자, 교육 콘텐츠 기획자 등으로 활동하며 교육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언론·출판·미디어 분야로 진출해 신문·방송사의 기자, PD, 작가, 또는 출판사의 편집자 등으로 전문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아울러 국어교육 전공자가 지닌 인문학적 소양과 탁월한 의사소통 능력은 공공기관과 기업체의 홍보, 마케팅, 사내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일부 졸업생은 교육행정직 공무원으로 진출하여 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맡아, 공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대학원 및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연구원이나 교수로서 학문적 역량을 펼치는 경우도 있다. 교육 현장과 연구를 연결하는 실천적 연구자, 교육 전문가로 성장하여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관리부서 : 사범대학 부속실 및 해당학과

    최종 수정일 : 2025-07-09